태양계(2)
-
태양계에서 지구만 성(星)이 아닌 구(球)인 이유는?
우리도 잘 알고 있듯이 태양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습니다. 명왕성은 2006년 8월에 바뀐 행성 분류법에 의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됐죠. 그렇다면 왜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 중 지구만 뒤에 ‘성’이 아닌 ’구’ 가 붙은 것일까요? 과거에는 지동설이 아니라 천동설을 기준으로 태양계를 관측했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이 아닌, 지구를 기준으로 천상이 돌고 있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를 기준으로 관측할 때 하늘에 떠있는 수금화목토천해명들을 별이라고 생각해, 별 ‘성(星)’을 붙여줬습니다. 서양권에서도 역시 지구를 제외한 나머지 행성에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명을 부여했습니다. 반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신의 이름이 아닌 ‘땅’, ‘대지’를 뜻..
2018.06.26 -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S5 0014+81
먼저 태양과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큰 별인 UY Scuti와의 비교. UY Scuti의 크기는 -부피로 따져 보면 이 별 안에 태양 약 50억 개가 들어간다. 지구는 약 6500조 개가 들어간다. -현재 인류 역사상 제일 빨랐던 전투기는 SR-71로 최대 속도가 마하 3.3 (4042.645kph)인데 마하 3.3의 속도로 한 바퀴 도는데 210년이나 걸린다. -이 별을 여객기로 한 바퀴 도는 데 1000년이 걸린다. -도보로 일주하는 데에는 20만 년이 걸린다. -빛의 속도로도 별을 일주하는 데에 8시간 정도가 걸린다. -이 별을 태양계의 중앙에 놓는다면 7.94AU의 반지름으로 목성의 궤도까지 전부 쓸어담는다. 그 거대한 UY Scuti가 알사탕만큼 작아짐 콩알만해지다가 아예 점으로 사라짐 현재까지 ..
201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