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2)
-
팝콘으로 쉽게 알아보는 장사 상술
영화관에 갔더니 7천원짜리 팝콘과 3천원짜리 팝콘이 있다. 실제로 이 두가지로 실험을 하면 7천원짜리는 너무 비싸다며 3천원짜리를 많이 산다. 하지만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조금이라도 더 뜯어내어 많이 파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당연히 7천원짜리를 많이 파는게 이득이다. 여기서 장사하는 입장에서 7천원짜리를 최대한 많이 팔수 있는 방법은? 중간에 메뉴를 하나더 넣으면 된다. 이렇게 어중간한 메뉴가 중간에 들어가면 소비자들은 7천원짜리로 눈이 상당히 많이 가게된다. 장사 하는 입장에선 저 6천 5백원짜리를 팔면 가장 큰 이득을 취할수 있지만 사실 저건 팔려는 목적으로 내놓은 메뉴가 아니다 (팔리면 그냥 대박인거고..) 중간에 내놓은 저 메뉴는 7천원짜리를 보다 많이 팔기위한 눈속임인 것이다. ..
2019.03.15 -
세무사가 본 장사로 돈 버는 사람들의 특징
지독한 구두쇠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셈계산이나 숫자에 관심이 많았어요그래야지 칭찬 받았거든요 결국 세무사를 하게 되었고 난 계산적?이니까 개업해도 성공할꺼야 라는 생각으로시작한 지 10년이 넘었네요. 결론은 완전한 착각이였다는 걸 5~6년차 정도에 깨달았네요 예전에도 여기에 잠깐 글을 쓴적이 있는데 다시 써봐요제가 관리하는 곳은 제조 , 도매가 대부분이니 소매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겠네요 1. 장사하는데 들어가는 돈을 금액적 차이보다는 시간적 차이를 중요하게 생각해요 예를 들어 사장이 컴퓨터를 잘 모르는데 컴퓨터가 고장이 났으면 그냥 대기업 컴퓨터 바로 구매합니다.괜히 용산,인터넷을 뒤지고 택배로 받는게 아니라 오늘 고장난 컴퓨터를 대체할 무언가를 오늘내로 처리할려고 해요몇 십만원 차이가 나지만..
201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