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2)
-
미국 후버댐에 얽힌 재미있는 얘기들
후버댐 (1935년 완공. 실제 1931~1936) 1. 후버댐은 이런 구조로 되어 있다 2.후버댐의 이름인 "후버"는 루즈벨트 대통령 바로 전의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이름이다. 후버 시절에 공사를 시작했다. 후버는 대공황의 원흉으로 지목되어 인기가없었으나 1949년에 복권되어 댐의 이름이 되었다 3.후버는 1차대전에 사재를 털어 유럽의 난민을 구제한 영웅으로 인기를 얻어 정계에 진출하였다. 대통령이 된 후, 경제 공황이 발생하자 인기가 폭락하게 되었는데,사실 그의 탓이라기보단, 그전 공화당정권이 삽질한 결과가 그의 시대에 나타났다는게 정설이다. 4. 후버는 공황을 타개하고자 댐도 건설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내세웠는데, 그 정책의 결과는 아이러니하게도 다음 민주당의 루즈벨트 대통령 시절에 뉴딜정..
2018.08.13 -
반드시 남한을 사수하고자 맞섰던 군인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인한 한국전쟁이 발발하고이에 남한군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하면서 낙동강 방어선이 세워졌고철수를 외치는 미국정부에 맞선 미군을 말해보자면 당연히... 맥아더 장군을 제일 먼저 떠올릴것이다맥아더 역시 끝까지 남한을 사수해야 한다고 맞선것은 사실이나그도 처음부터 무조건 사수를 지지한 사람은 아니였다. 일본에서 한국전쟁 소식을 듣고 빠른속도로 밀린 국군의 소식에맥아더도 초기에는 한반도를 포기하고 철수를 한뒤재정비후 한반도 탈환을 생각하고있었다 그런데 그때 한 중장이 등장한다. (W.워커 중장)미8군에서 복무하고있던 워커장군이 등장한것이다. 워커중장은 2차대전때부터 패튼장군 휘하로 지내며 상당한 업적을 세운 베타랑 군인이였다.빠른 기동성과 압도적인 전술로 독일군을 격퇴하며 유령군단 이..
2018.03.26